본문 바로가기
생활의 지혜

두려움이라는 감정, 두려울 때 힘내는 방법 보세요.

by 다조은남 2024. 12. 31.
반응형

두려움은 막연함에서 온다. 그러나, 결국 나를 성장시키는 감정의 힘이 된다.

 

두려움: 나를 성장시키는 감정의 힘

두려움이라는 감정은 미지의 세계에 대한 막연함으로부터 온다. 우리의 의식은 습관의 산물이며, 의식은 안전을 최우선으로 한다.

두려움이란, 알지 못하는 대상, 환경, 세상에 대한 막연한 위험으로부터 우리 스스로를 지키기 위한 본능이다.

두려움에 굴복하면 무엇이 남는가?

그렇다면 위험을 감수하지 않고 두려움에 굴복하면 안정을 느낄 수 있을까? 잠시는 그럴 수 있지만, 결국 그렇지 않다. 위험을 감수하지 않으면 점점 나약해지고, 그렇게 나약해지는데 익숙해지면 더 작은 위험에도 두려움을 느껴 굴복하게 되고 결국에는 나비의 날갯짓에도 두려움을 느끼게 된다.

두려움을 경험으로 극복하라

두려움을 느끼더라도 경험을 해봐야 그게 별것이 아님을 본능적으로 느끼게 되고 점점 두려움을 줄이고 나를 키울 수 있다.

경험을 하기까지 두렵지만, 위험을 감수하는 다짐과 결심을 하면 내가 굴복했던 두려움과 위험은 더 이상 두려움과 위험이 아니다.

우리의 인식은 두려움과 위험에도 익숙해 진다. 익숙해지면 더 이상 두려움을 느끼지 않는다.

경험을 통해서 위험을 감수할 수 있는 크기를 늘려가고, 본능적인 불안함을 결단과 용기로 이겨내야 나의 그릇이 커진다.

경험을 쌓는 방법

그래서 경험이 중요하다.

경험을 쌓는 방법은 무엇인가?

결심과 의지이다. 경험을 쌓으려고 하는 결심과 그것을 계속해 나아가는 의지이다.

결심과 의지를 갖는 방법

굳은 의지와 대단하고 확고한 ... 그렇게 대단한 힘이 들어가는 엄청난 것이 아니다.

기쁨과 행복을 추구하는 삶에 대한 우주적 관점의 가벼운 태도이다.

과학이 밝힌 두려움 극복의 비밀

립턴 박사는 공포가 세포에 미치는 연구를 했는데, 우리가 과학에서 배운 상식인 "유전자가 생명을 지배하는 것"이 아니라, 세포를 결정하는 것은 "환경"이라는 것을 밝혔다. 행복과 기쁨의 감정에서 나오는 도파민이 화학물질을 만들어 세포를 변화시킨다는 것이다.

기쁨과 행복을 느끼면 우리의 세포가 변화하고 세포가 변화하면서 육체적 건강과 마음의 평화를 찾을 수 있다는 것을 과학적으로 밝혔다.

두려움에서 벗어나기 위한 관점의 변화

세상을 대하는 태도...

거대한 우주 안에 자그마한 지구 안에 작은 나라 안에 작은 도시 안에 사는 우리...

거기서 느끼는 각종 불안감과 두려움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우주적 관점에서 (나를 떠나 우주에서 바라보는 작은 나를 보는 우주의 주인공으로서의 시야), 나를 행복하게 바라봐 주는 데서 시작한다.

그렇게 작은 생각의 변화에서 바라보는 인생은 '하나의 소풍'에 불과하며, '그 소풍에서 최대한 기쁨을 느끼고 가면 그만!'이라는 가벼운 생각이 두려움과 불안과 스트레스를 버리고 행복할 수 있는 길이리라.

 

 

 

 

 

반응형